Contact Us

CoCoA Group Co., Ltd.

거래소, 불성실공시 18곳 심사상폐는 2곳… 감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조회 4회 작성일 25-04-27 19:41

본문

거래소, 불성실공시 18곳 심사상폐는 2곳… 감사 거래소, 불성실공시 18곳 심사상폐는 2곳… 감사 의견거절로고의성 등 고려 벌점 부과 불구제재금 대체·경감 제도로 회피공시믿고 투자한 투자자만 피해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하겠다 공시한 뒤 6개월 뒤 이를 철회하고, 횡령·배임 사실을 공시하지 않고 숨기는 등 상장 기업들의 '엉터리 공시'가 매년 늘고 있다. 이를 이유로 상장폐지 등의 제재를 받는 곳은 사실상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한 기업이 일년도 되지 않아 3~4개의 공시를 이행하지 않거나 번복한 사례도 있다.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실까지도 임의로 변경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같은 엉터리 공시에도 제대로된 제재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국내 증시 전체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고 있다는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이후 18개 기업이 불성실공시 등을 이유로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를 받았지만, 이 중 실제 상장폐지된 곳은 2개 기업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 마저도 불성실공시가 아닌 감사의견 거절로 인한 상장폐지였다.지난해 상장폐지가 결정된 'THE MIDONG'은 폐지 전 3개월간 두 차례나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됐다. 이 기간 동안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양수, 유상증자, 전환사채발행을 차례로 철회했고, 최대주주가 변경된 것을 잘못 공시하기도 했다. 이를 이유로 실질심사를 받았지만,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는데 그쳤고, 이후 감사의견이 거절된 뒤에야 상장폐지가 결정됐다.역시 지난해 상장폐지된 비디아이는 폐지 전 1년간 공시번복 8건, 불이행 1건으로 두 차례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됐다. 수천억원에 달하는 공급계약 내용을 일시에 철회했지만, 비디아이 역시 최종 상장폐지 사유는 감사의견 거절이었다.수 차례의 공시번복 등 불성실공시가 상장폐지의 전조증상으로 읽히지만, 불성실공시 만으로 상장폐지를 결정하기 어렵고, 실질적인 제재수단도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올해 코스피·코스닥 시장에서 불성실공시 기업도 늘어나는 추세다. 올들어 코스피 상장사 중 불성실 공시법인으로 지정거래소, 불성실공시 18곳 심사상폐는 2곳… 감사 의견거절로고의성 등 고려 벌점 부과 불구제재금 대체·경감 제도로 회피공시믿고 투자한 투자자만 피해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하겠다 공시한 뒤 6개월 뒤 이를 철회하고, 횡령·배임 사실을 공시하지 않고 숨기는 등 상장 기업들의 '엉터리 공시'가 매년 늘고 있다. 이를 이유로 상장폐지 등의 제재를 받는 곳은 사실상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한 기업이 일년도 되지 않아 3~4개의 공시를 이행하지 않거나 번복한 사례도 있다.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실까지도 임의로 변경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같은 엉터리 공시에도 제대로된 제재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국내 증시 전체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고 있다는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이후 18개 기업이 불성실공시 등을 이유로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를 받았지만, 이 중 실제 상장폐지된 곳은 2개 기업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 마저도 불성실공시가 아닌 감사의견 거절로 인한 상장폐지였다.지난해 상장폐지가 결정된 'THE MIDONG'은 폐지 전 3개월간 두 차례나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됐다. 이 기간 동안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양수, 유상증자, 전환사채발행을 차례로 철회했고, 최대주주가 변경된 것을 잘못 공시하기도 했다. 이를 이유로 실질심사를 받았지만,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는데 그쳤고, 이후 감사의견이 거절된 뒤에야 상장폐지가 결정됐다.역시 지난해 상장폐지된 비디아이는 폐지 전 1년간 공시번복 8건, 불이행 1건으로 두 차례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됐다. 수천억원에 달하는 공급계약 내용을 일시에 철회했지만, 비디아이 역시 최종 상장폐지 사유는 감사의견 거절이었다.수 차례의 공시번복 등 불성실공시가 상장폐지의 전조증상으로 읽히지만, 불성실공시 만으로 상장폐지를 결정하기 어렵고, 실질적인 제재수단도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올해 코스피·코스닥 시장에서 불성실공시 기업도 늘어나는 추세다. 올들어 코스피 상장사 중 불성실 공시법인으로 지정된 기업은 15곳, 지정예고 15건(중복 포함)으로 전년 9곳, 10건에서 58% 증가했다. 코스닥도 지정과 지정예고를 더해 82건으로 전년보다 10% 가까이 늘어났다. 하지만 아직까지 올해 이들 기업 중 상장폐지가 결정된 곳은 하나도 없었다. 불성실공시를 이유로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를 받은 곳도 거래소, 불성실공시 18곳 심사상폐는 2곳…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