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토 ㆀ 94.rhf865.top ㆀ 무료백경
페이지 정보

작성자 상망유린
조회 41회 작성일 25-10-05 16:43
조회 41회 작성일 25-10-05 16:43
본문
【42.rhf865.top】
미국의 소프트파워를 책임지는 조직이자, 전 세계를 상대로 미국의 리더십을 구현하고 조율하는 역할의 최전선에 있는 미국 국무부가 도널드 트럼프 2기 정부에서 대대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미국 국무부는 한국의 외교부에 대응하는 조직이지만, 그 위상은 단지 일국의 외교조직 이상이다. 미국의 힘이 세계로 통하게 하는 통로이자, 세계가 미국과 관계를 맺는 창구가 국무부이기 때문이다. 양차 세계대전 후 미국이 만들어 온 국제 질서에서 국무부 사람들을 빼고 이야기할 역사가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여러 명분을 붙여 가면서 줄곧 덩치를 키워 온 비대한 국무부 조직은 막대한 정부부채에 신한카드 홈페이지 시달리는 미국에 큰 부담이기도 했다. 7만여명에 달하는 인원, 복잡한 부처 구성은 '지나치다'는 비판을 줄곧 들어왔다.
그동안 모든 미국 정부가 국무부 효율화를 언급했지만, 본격적으로 메스를 들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은 이번 트럼프 정부다. 지난 7월11일 대규모 구조조정을 통해 1353명의 직원을 해고했다. 방대한 조직을 효율화해야 한다고 농협적금이자율 주장해 온 이들도 깜짝 놀랄 정도로 파격적이고, 거친 방식이었다. 대면으로 해고를 통보를 하는 사치는 기대할 수 없었다. 인수인계도 기대할 수 없었다. 워싱턴포스트는 당시 기사에서 메일이 대량으로 한꺼번에 발송되지 않아 몇 시간에 걸쳐서 해고 통보가 순차적으로 이뤄졌다면서 이 시간 동안 조직 전체가 불안에 떨었다고 묘사했다.
조직 해체와 소상공인 상권정보시스템 구조조정을 통해 국무부는 3000명을 줄이는 과정을 진행 중이다. 국무부 전체 인원은 7만여명에 비하면 크지 않다고 볼 수도 있지만, 조정 인원 중 상당수는 해외 파견 근무 중인 외교관이 아니라 본부에서 일하는 직원들이다. 워싱턴DC의 국무부 건물에서 일하는 인원은 8000명 가량, 다른 부처 및 건물 등에서 일하는 인원을 포함한 1만여명과 비교하면 결코 경기농협 적지 않은 인원이다.
구조조정 대상은 뚜렷하다. 인권과 다양성(DEI) 등에 관한 인원은 본인의 업무 역량과 무관하게 잘려 나갔다. 입사한 지 얼마 되지 않아 해고 통보를 받은 직원들도 적지 않다. 줄이기 어려운 양자 업무 대신 다자 업무 담당자들도 상당수 피해를 입었다. 난민정착을 담당하는 모든 직원이 구조조정 대상이 됐다고 거버먼트 부산 자동차 이그제큐티브는 전했다.
이 과정에서 국무부의 핵심 역량이 훼손되었다는 비판이 여전히 거세다. 국무부 내에서도 동료들의 갑작스러운 이탈로 인한 충격이 적지 않게 남아 있다. 하지만 트럼프 정부의 방향과 기존 국무부의 업무 방식은 서로 어울리지 않는 만큼, 대대적인 조정이 불가피했던 측면도 분명 존재한다.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은 백악관과 국무부 직원들 간의 시각 차를 조정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트럼프 대통령의 뜻을 수행해야 하는 상황이다.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이 지난 8월14일 파라과이 외무장관의 면담에서 발언하고 있다. / AP연합뉴스
◆조직 간소화했지만 상흔은 남아
2025년 7월 트럼프 정부의 국무부 조직도. / 국무부
이러한 구조조정과 조직개편의 결과, 트럼프 정부 하의 국무부 조직도를 보면 아래 바이든 정부의 조직도에 비교해 간소해졌다.
시민안전, 민주주의, 인권을 담당하는 외국 원조 및 인도적 업무 부서('J 패밀리')는 기존 조직은 해체되고, 인도주의 문제와 종교자유를 담당하는 'F 패밀리'로 전환 운영되고 있다. F 패밀리는 J 패밀리에 있던 민주주의, 인권, 노동(DRL) 조직과 종교 자유 조직(IRF), 인구, 난민, 이민(PRM) 조직 등과 'E 패밀리' 산하에 있던 글로벌 식량안보(GFS) 등을 합친 조직이다.
장관 직속으로 있었던 12개의 각종 부속실은 8개로 줄었다. 경제성장, 에너지, 환경부문('E 패밀리') 산하에는 7개 부서가 있었으나 4개 부서로 단순화됐다. 대신 군비 통제 및 국제안보 부문('T 패밀리')는 3개 부서를 5개 부서로 늘리며 강화됐다. J 패밀리 아래 있던 국제마약 및 법 집행(INL) 부서와 P 패밀리(정무차관) 아래 있던 테러대응 부서(CT)를 흡수했다.
다른 영역에서도 과도하게 세분화돼 있던 영역을 상당부분 조정했다. 사이버스페이스와 디지털정책 관련 부서(CDP)는 당초 부장관 직속으로 비중 있게 다뤄졌으나 현재는 T 패밀리 산하 부서로 합류했다.
2024년 바이든 정부의 국무부 조직도. / 국무부
◆한국 관할 동아태라인, 차관보 아직 공석
국무부 동아태지역으로 이어지는 보고라인. 크리스토퍼 랜다우 부장관, 앨리슨 후커 정무차관, 마이클 디솜브리 동아태 차관보 지명자, 케빈 김 동아태 부차관보. /국무부 홈페이지 및 링크트인(디솜브리)
한국에서 가장 관심을 가지는 분야는 역시 '한국을 누가 담당하느냐'다. 국무부는 크게 각국과의 외교를 담당하는 지역정책 담당과 영역별로 미국의 외교전략과 각 영역의 전문성을 연계하는 기능정책 담당으로 나눠서 볼 수 있다. 지역정책을 담당하는 정무영역을 통칭해서 'P 패밀리(Political Affairs)'라고 부르는데 이 분야의 최고 책임자가 앨리슨 후커 정무차관(Under Secretary)이다. 국무부 장관(Secretary), 부장관(Deputy Secretary) 다음으로 가장 힘이 센 자리다. P 패밀리 외에 나머지는 전부 비(非) 지역정책, 즉 기능정책을 담당한다.
후커 차관이 담당하는 P 패밀리는 현재 총 7개 부서로 나뉜다. 아프리카(AF), 동아시아태평양(EAP), 유럽 및 유라시아(EUR), 근동(NEA), 남아시아 및 중앙아시아(SCA), 서반구(캐나다와 중남미 지역·WHA), 국제기구(IO)다. 이 중에서 한국을 관할하는 것은 EAP다. EAP의 총괄은 원래 차관보(Assistant Secretary) 급이 맡아야 한다. 현재 이 자리에는 마이클 디솜브리 전 주태국 미국대사가 지난 3월부터 내정돼 있으나 아직 의회 인준 절차가 완료되지 않아 반년 넘게 공석이다.
동아태지역 총괄 차관보는 한국 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대만, 몽골 등을 두루 담당해야 한다. 차관보가 공석인 만큼 현재 케빈 김 선임국장(Senior Bureau Official)이 이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한국계인 김 국장은 당초 한반도 정책을 맡기 위해 부차관보(Deputy Assistant Secretary)로서 트럼프 2기 정부에 합류했으나 현재는 부차관보다 한 단계 급이 더 높아졌고 담당 영역도 넓어졌다. 지난 8월 한미정상회담 과정에서도 김 국장이 미국 측에서 양국 간 소통을 주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디솜브리 차관보 내정자가 공식 부임하면 일부 영역 조정이 있을 수 있다.
동아태지역(EAP) 부서 내에서도 한국을 담당하는 과는 한국 담당 데스크(EAP-K)라고 부른다. 한국 담당 데스크의 규모는 현재 약 10여명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한 사람이 여러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도 있다.
중국은 EAP 내에서 독특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2022년 국무부 내 중국 담당 데스크를 '중국조정국(Office of China Coordination)'으로 격상했다. 흔히 '차이나 하우스'라고 불린다. 한국 담당을 '코리아 데스크' 등으로 부르는 것과는 다르다. 단일 국가 중에서 하우스 수준으로 국무부 내 조직이 운영되는 것은 중국 뿐이다. 그만큼 중국의 지위가 중요해지고 이를 다루는 것이 미국 정부 운영에 매우 핵심적인 과제라는 것을 보여준다. 루비오 장관은 지난 7월 말 중국조정국 수장(China Coordinator, 부차관보급)으로 조슈아 영 전 국제안보정책 담당 차관보를 임명했다. 당시 닛케이 아시아는 국무부가 중국에 대한 초점을 강화하기 위해 이런 인사를 냈다고 해석했다.
조슈아 영 미국 국무부 차이나 코디네이터. /국무부 홈페이지
이외에 국무부 내에서 한국과 관련된 분야는 연수 등 교육 목적의 교류를 담당하는 공공외교 및 공공업무 부문('R 패밀리') 산하 교육 및 문화담당 부서(ECA), 북한 인권 등에 관해서는 F 패밀리의 민주주의 및 인권, 노동 부서(DRL), 북핵문제는 T 패밀리의 군비 통제 및 확산 억제 부서(ACN), 대북제재 등은 E 패밀리의 경제, 에너지, 비즈니스 부서(EEB)에서 각각 담당한다.
기본적으로 국무부의 모든 업무는 미국 정부의 전 영역과 상당부분 겹친다. 각 부처의 업무 중 대내적인 역할은 해당 부처가 주관하되, 대외적인 역할은 반드시 국무부와 함께, 또 국무부를 통해서 진행되는 것이 미국 정부의 운영 방식이다. 따라서 한국에서 미국과 공동 이슈가 있을 경우, 담당 부처는 물론 국무부 내 담당 부서와도 함께 협의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매우 흔하다.
◆셧다운 여파에 추가 구조조정 압박까지
지난 1일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시 업무정지)이 시작되면서 국무부 직원들도 상당부분 무급 휴직에 들어갔다. 무급 휴직을 할 경우 나중에 셧다운이 풀리더라도 이 기간에 대한 급여를 받지 못하는 만큼 타격이 있다.
다마 일부 인원은 필수근무 인력으로 분류돼 업무를 이어가는 중이다. 이달 말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방일 및 미중 정상회담 등이 예고돼 있는 만큼 동아태 담당자들도 마음 편히 쉴 수 없는 처지다. 동아태 담당 상당수 인력은 출근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셧다운을 계기로 연방 공무원을 추가 해고할 수 있다고 위협한 것은 국무부 관계자들에게 또 다른 근심거리다. 국무부 내에서는 이번 추가해고 대상에서 이미 대량해고를 겪은 국무부는 비껴갈 수 있기를 바라는 목소리가 작지 않다. 조직이 대규모로 흔들리면서 겪는 혼란이 이미 큰 가운데 추가적인 혼란으로 인한 역량 손실을 우려해서다. 직업 외교관은 법적으로도 상당한 보호를 받는 만큼, 해고 우선순위에서 비껴나 있다는 평가도 있다.
워싱턴=이상은 특파원 selee@hankyung.com
야마토 ㆀ 38.rhf865.top ㆀ 무료백경
야마토 ㆀ 51.rhf865.top ㆀ 무료백경
야마토 ㆀ 79.rhf865.top ㆀ 무료백경
야마토 ㆀ 68.rhf865.top ㆀ 무료백경
바로가기 go !! 바로가기 go !!
바다이야기파일 모바일 바다이야기 릴박스 릴게임알라딘 알라딘릴게임장 바다신게임 강원 랜드 슬롯 머신 하는법 릴게임 종류 모바일릴게임사이트 온라인 황금성 바다이야기하는법 릴게임 신천지사이트 빠찡코 바다이야기디시 메가슬롯 야마토게임 바다이야기pc게임 슬롯무료체험 백경온라인 적토마게임 핸드폰바다이야기 릴게임5만릴게임사이다 황금성갈가리 황금성오리지널 야마토게임기 슬롯 추천 디시 우주전함야마토먹튀 무료슬롯체험 바다이야기apk 온라인식보 손오공게임하기 바다이야기 예시 종료 져스트릴게임 슬롯커뮤니티 바다이야기부활 슬롯 릴 게임 릴게임갓 바다이야기환전가능 바다이야기 하는법 손오공게임하기 온라인야마토2 신천지게임랜드 바다이야기 공략법 온라인 슬롯 하는 법 황금성 게임 다운로드 모바일야마토5게임 온라인오션게임 황금성 릴게임 릴게임종류 릴게임판매 바다이야기기계가격 인터넷빠찡꼬 황금성 게임랜드 최신야마토 야마토2게임주소 바다이야기 코드 강원랜드게임종류 신 바다이야기 릴게임주소 슬롯게시판 신천지게임 하는방법 일본빠찡코 강원랜드 슬롯머신 하는법 바다신2게임 777 잭팟 릴게임놀이터 오션파라다이스릴게임 우주전함야마토2202 황금성게임정보 알라딘릴 알슬롯 오리자날 양귀비 바다이야기디시 해외축구일정 릴게임총판 바다이야기시즌7 핸드폰바다이야기 슬롯 머신 이기는 방법 야마토5 황금성갈가리 오션파라다이스다운로드 바다이야기디시 인터넷신천지 야마토게임 최신릴게임 알라딘게임 일본빠찡코 황금성제주도 야마토5게임방법 게임몰릴게임 바다이야기앱 릴게임판매 바다이야기 예시 종료 릴게임5만릴짱 황금성게임정보 릴황금성 황금성게임장 온라인오션파라다이스 릴게임꽁머니 야마토게임공략방법 바다이야기 pc버전 온라인바다이야기게임 다빈치게임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 오락실릴게임 야마토2 황금성오락실 바다이야기 슬롯 무료스핀 슬롯머신 기계 구입 신천지게임 하는방법 바다이야기무료 모바일신천지모바일 상품권릴게임 인터넷야마토주소 인터넷황금성 슬롯무료게임 체리마스터 확률 온라인 손오공 릴게임 온라인 황금성 최신게임 바다이야기게임하는곳 오리지널야마토2게임 메이저릴게임사이트 올쌈바 국무부 로고와 미국 국기. / 로이터연합뉴스미국의 소프트파워를 책임지는 조직이자, 전 세계를 상대로 미국의 리더십을 구현하고 조율하는 역할의 최전선에 있는 미국 국무부가 도널드 트럼프 2기 정부에서 대대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미국 국무부는 한국의 외교부에 대응하는 조직이지만, 그 위상은 단지 일국의 외교조직 이상이다. 미국의 힘이 세계로 통하게 하는 통로이자, 세계가 미국과 관계를 맺는 창구가 국무부이기 때문이다. 양차 세계대전 후 미국이 만들어 온 국제 질서에서 국무부 사람들을 빼고 이야기할 역사가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여러 명분을 붙여 가면서 줄곧 덩치를 키워 온 비대한 국무부 조직은 막대한 정부부채에 신한카드 홈페이지 시달리는 미국에 큰 부담이기도 했다. 7만여명에 달하는 인원, 복잡한 부처 구성은 '지나치다'는 비판을 줄곧 들어왔다.
그동안 모든 미국 정부가 국무부 효율화를 언급했지만, 본격적으로 메스를 들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은 이번 트럼프 정부다. 지난 7월11일 대규모 구조조정을 통해 1353명의 직원을 해고했다. 방대한 조직을 효율화해야 한다고 농협적금이자율 주장해 온 이들도 깜짝 놀랄 정도로 파격적이고, 거친 방식이었다. 대면으로 해고를 통보를 하는 사치는 기대할 수 없었다. 인수인계도 기대할 수 없었다. 워싱턴포스트는 당시 기사에서 메일이 대량으로 한꺼번에 발송되지 않아 몇 시간에 걸쳐서 해고 통보가 순차적으로 이뤄졌다면서 이 시간 동안 조직 전체가 불안에 떨었다고 묘사했다.
조직 해체와 소상공인 상권정보시스템 구조조정을 통해 국무부는 3000명을 줄이는 과정을 진행 중이다. 국무부 전체 인원은 7만여명에 비하면 크지 않다고 볼 수도 있지만, 조정 인원 중 상당수는 해외 파견 근무 중인 외교관이 아니라 본부에서 일하는 직원들이다. 워싱턴DC의 국무부 건물에서 일하는 인원은 8000명 가량, 다른 부처 및 건물 등에서 일하는 인원을 포함한 1만여명과 비교하면 결코 경기농협 적지 않은 인원이다.
구조조정 대상은 뚜렷하다. 인권과 다양성(DEI) 등에 관한 인원은 본인의 업무 역량과 무관하게 잘려 나갔다. 입사한 지 얼마 되지 않아 해고 통보를 받은 직원들도 적지 않다. 줄이기 어려운 양자 업무 대신 다자 업무 담당자들도 상당수 피해를 입었다. 난민정착을 담당하는 모든 직원이 구조조정 대상이 됐다고 거버먼트 부산 자동차 이그제큐티브는 전했다.
이 과정에서 국무부의 핵심 역량이 훼손되었다는 비판이 여전히 거세다. 국무부 내에서도 동료들의 갑작스러운 이탈로 인한 충격이 적지 않게 남아 있다. 하지만 트럼프 정부의 방향과 기존 국무부의 업무 방식은 서로 어울리지 않는 만큼, 대대적인 조정이 불가피했던 측면도 분명 존재한다.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은 백악관과 국무부 직원들 간의 시각 차를 조정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트럼프 대통령의 뜻을 수행해야 하는 상황이다.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이 지난 8월14일 파라과이 외무장관의 면담에서 발언하고 있다. / AP연합뉴스
◆조직 간소화했지만 상흔은 남아
2025년 7월 트럼프 정부의 국무부 조직도. / 국무부
이러한 구조조정과 조직개편의 결과, 트럼프 정부 하의 국무부 조직도를 보면 아래 바이든 정부의 조직도에 비교해 간소해졌다.
시민안전, 민주주의, 인권을 담당하는 외국 원조 및 인도적 업무 부서('J 패밀리')는 기존 조직은 해체되고, 인도주의 문제와 종교자유를 담당하는 'F 패밀리'로 전환 운영되고 있다. F 패밀리는 J 패밀리에 있던 민주주의, 인권, 노동(DRL) 조직과 종교 자유 조직(IRF), 인구, 난민, 이민(PRM) 조직 등과 'E 패밀리' 산하에 있던 글로벌 식량안보(GFS) 등을 합친 조직이다.
장관 직속으로 있었던 12개의 각종 부속실은 8개로 줄었다. 경제성장, 에너지, 환경부문('E 패밀리') 산하에는 7개 부서가 있었으나 4개 부서로 단순화됐다. 대신 군비 통제 및 국제안보 부문('T 패밀리')는 3개 부서를 5개 부서로 늘리며 강화됐다. J 패밀리 아래 있던 국제마약 및 법 집행(INL) 부서와 P 패밀리(정무차관) 아래 있던 테러대응 부서(CT)를 흡수했다.
다른 영역에서도 과도하게 세분화돼 있던 영역을 상당부분 조정했다. 사이버스페이스와 디지털정책 관련 부서(CDP)는 당초 부장관 직속으로 비중 있게 다뤄졌으나 현재는 T 패밀리 산하 부서로 합류했다.
2024년 바이든 정부의 국무부 조직도. / 국무부
◆한국 관할 동아태라인, 차관보 아직 공석
국무부 동아태지역으로 이어지는 보고라인. 크리스토퍼 랜다우 부장관, 앨리슨 후커 정무차관, 마이클 디솜브리 동아태 차관보 지명자, 케빈 김 동아태 부차관보. /국무부 홈페이지 및 링크트인(디솜브리)
한국에서 가장 관심을 가지는 분야는 역시 '한국을 누가 담당하느냐'다. 국무부는 크게 각국과의 외교를 담당하는 지역정책 담당과 영역별로 미국의 외교전략과 각 영역의 전문성을 연계하는 기능정책 담당으로 나눠서 볼 수 있다. 지역정책을 담당하는 정무영역을 통칭해서 'P 패밀리(Political Affairs)'라고 부르는데 이 분야의 최고 책임자가 앨리슨 후커 정무차관(Under Secretary)이다. 국무부 장관(Secretary), 부장관(Deputy Secretary) 다음으로 가장 힘이 센 자리다. P 패밀리 외에 나머지는 전부 비(非) 지역정책, 즉 기능정책을 담당한다.
후커 차관이 담당하는 P 패밀리는 현재 총 7개 부서로 나뉜다. 아프리카(AF), 동아시아태평양(EAP), 유럽 및 유라시아(EUR), 근동(NEA), 남아시아 및 중앙아시아(SCA), 서반구(캐나다와 중남미 지역·WHA), 국제기구(IO)다. 이 중에서 한국을 관할하는 것은 EAP다. EAP의 총괄은 원래 차관보(Assistant Secretary) 급이 맡아야 한다. 현재 이 자리에는 마이클 디솜브리 전 주태국 미국대사가 지난 3월부터 내정돼 있으나 아직 의회 인준 절차가 완료되지 않아 반년 넘게 공석이다.
동아태지역 총괄 차관보는 한국 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대만, 몽골 등을 두루 담당해야 한다. 차관보가 공석인 만큼 현재 케빈 김 선임국장(Senior Bureau Official)이 이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한국계인 김 국장은 당초 한반도 정책을 맡기 위해 부차관보(Deputy Assistant Secretary)로서 트럼프 2기 정부에 합류했으나 현재는 부차관보다 한 단계 급이 더 높아졌고 담당 영역도 넓어졌다. 지난 8월 한미정상회담 과정에서도 김 국장이 미국 측에서 양국 간 소통을 주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디솜브리 차관보 내정자가 공식 부임하면 일부 영역 조정이 있을 수 있다.
동아태지역(EAP) 부서 내에서도 한국을 담당하는 과는 한국 담당 데스크(EAP-K)라고 부른다. 한국 담당 데스크의 규모는 현재 약 10여명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한 사람이 여러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도 있다.
중국은 EAP 내에서 독특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2022년 국무부 내 중국 담당 데스크를 '중국조정국(Office of China Coordination)'으로 격상했다. 흔히 '차이나 하우스'라고 불린다. 한국 담당을 '코리아 데스크' 등으로 부르는 것과는 다르다. 단일 국가 중에서 하우스 수준으로 국무부 내 조직이 운영되는 것은 중국 뿐이다. 그만큼 중국의 지위가 중요해지고 이를 다루는 것이 미국 정부 운영에 매우 핵심적인 과제라는 것을 보여준다. 루비오 장관은 지난 7월 말 중국조정국 수장(China Coordinator, 부차관보급)으로 조슈아 영 전 국제안보정책 담당 차관보를 임명했다. 당시 닛케이 아시아는 국무부가 중국에 대한 초점을 강화하기 위해 이런 인사를 냈다고 해석했다.
조슈아 영 미국 국무부 차이나 코디네이터. /국무부 홈페이지
이외에 국무부 내에서 한국과 관련된 분야는 연수 등 교육 목적의 교류를 담당하는 공공외교 및 공공업무 부문('R 패밀리') 산하 교육 및 문화담당 부서(ECA), 북한 인권 등에 관해서는 F 패밀리의 민주주의 및 인권, 노동 부서(DRL), 북핵문제는 T 패밀리의 군비 통제 및 확산 억제 부서(ACN), 대북제재 등은 E 패밀리의 경제, 에너지, 비즈니스 부서(EEB)에서 각각 담당한다.
기본적으로 국무부의 모든 업무는 미국 정부의 전 영역과 상당부분 겹친다. 각 부처의 업무 중 대내적인 역할은 해당 부처가 주관하되, 대외적인 역할은 반드시 국무부와 함께, 또 국무부를 통해서 진행되는 것이 미국 정부의 운영 방식이다. 따라서 한국에서 미국과 공동 이슈가 있을 경우, 담당 부처는 물론 국무부 내 담당 부서와도 함께 협의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매우 흔하다.
◆셧다운 여파에 추가 구조조정 압박까지
지난 1일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시 업무정지)이 시작되면서 국무부 직원들도 상당부분 무급 휴직에 들어갔다. 무급 휴직을 할 경우 나중에 셧다운이 풀리더라도 이 기간에 대한 급여를 받지 못하는 만큼 타격이 있다.
다마 일부 인원은 필수근무 인력으로 분류돼 업무를 이어가는 중이다. 이달 말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방일 및 미중 정상회담 등이 예고돼 있는 만큼 동아태 담당자들도 마음 편히 쉴 수 없는 처지다. 동아태 담당 상당수 인력은 출근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셧다운을 계기로 연방 공무원을 추가 해고할 수 있다고 위협한 것은 국무부 관계자들에게 또 다른 근심거리다. 국무부 내에서는 이번 추가해고 대상에서 이미 대량해고를 겪은 국무부는 비껴갈 수 있기를 바라는 목소리가 작지 않다. 조직이 대규모로 흔들리면서 겪는 혼란이 이미 큰 가운데 추가적인 혼란으로 인한 역량 손실을 우려해서다. 직업 외교관은 법적으로도 상당한 보호를 받는 만큼, 해고 우선순위에서 비껴나 있다는 평가도 있다.
워싱턴=이상은 특파원 selee@hankyung.com
관련링크
-
http://17.rye579.top
13회 연결 -
http://83.rzz625.top
14회 연결
- 이전글하이클래스릴게임 한게임포커┞ 83.rtb667.top ┞황금성배당줄 손오공게임하기 ┞ 25.10.05
- 다음글밍키넷: 해외 성인 컨텐츠 제공 사이트와 국내 법적 이슈 밍키넷 링크 25.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