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Us

CoCoA Group Co., Ltd.

[편집자주] 최대 1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조회 3회 작성일 25-04-22 01:53

본문

[편집자주] 최대 11.5억원의 투자와 2100만원의 상금이 주어진 제14회 청년기업가대회의 심사위원으로 벤처투자 업계에서 탄탄한 경력을 보유한 총 23명의 심사역이 참여한다. 이번 대회를 앞두고 이들 투자자로부터 스타트업 투자 전략을 들어봤다.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제14회 청년기업가대회 심사위원으로 참여하는 장지영 라이징에스벤처스 대표(사진)는 연세대학교기술지주와 미래과학기술지주를 거쳐 현재 라이징에스벤처스에서 대표를 맡고 있다. 테크(Tech)로 진입장벽을 만들 수 있는 딥테크 영역에서 초기 기업을 발굴하고 오랜 기간 성장의 동반자로 파트너십을 맺어가는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 소부장 및 바이오 의료기기 영역을 주력으로 투자한다. -올해 개인적으로 관심을 갖는 벤처투자 분야는?▶기후테크 영역에 관심을 갖고 있다. 기후테크는 직접적인 환경 오염문제를 해결하는 영역 외에도 에너지를 저장하고 수송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곳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신재생 에너지를 재원으로 활용하는 경우도 해당 된다. 이 해당 영역의 복잡 다단한 밸류체인 내의 혁신 기술을 갖고 있는 플레이어들을 찾고 있으며 각각의 플레이어들을 우리의 포트폴리오로 편입 시키고 이들끼리의 시너지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브릿지 역할에도 기여하고자 한다. -올해 벤처투자 업계의 주요 이슈는?▶시장 변동성과 리스크 증가로 출자자(LP) 모집의 어려움이 지속되는 벤처 생태계의 문제는 당연히 스타트업의 투자 유치의 어려움으로 연결이 될 것이고, 이로 인해 유동성에 기대어 성장해온 스타트업들은 생존의 위기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생존력과 생존방어력을 구축하는 것이 스타트업이든 벤처투자자(VC)든 중요한 관건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지난해 벤처투자가 크게 위축되었는데, 올해는 회복될까?▶올해까지는 위축된 이병철 전 삼성전자 부사장(아주대 미중정책연구소 연구원)이 21일 국민일보와 만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압박 등 다양한 지정학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외교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김지훈 기자 삼성전자가 지난 2014년 중국에 첫 반도체 공장을 짓기에 앞서 고려한 지정학 리스크는 북한 핵실험이나 일본 지진 정도였다. 당시 삼성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델과 HP 등 주요 고객사는 공급 차질을 우려하며 해외 공장 분산을 끊임없이 요구했다. 만약 삼성이 투자 의사결정 단계에서 지금과 같은 미·중 간 패권 다툼을 변수에 넣었더라면 시안 반도체 공장은 탄생할 수 있었을까.삼성 중국본사 부총재로 15년간 중국에서 주재한 이병철 전 삼성전자 부사장(아주대 미중정책연구소 연구원)은 최근 발간한 아주대 정치외교학 박사 학위 논문에서 미·중 기술 패권 경쟁 속에 지정학 리스크를 극복할 경영의 핵심 수단으로 ‘기업외교’ 키워드를 제시했다. 이 전 부사장은 21일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기업경영의 중요한 한 축으로서 기업외교를 강화해야 한다”며 “기업외교는 단기 현안을 해결하는 소방수나 기업과 정부를 잇는 연락 창구에 그치지 않고 주요 경영 전략 수립 단계에서 불이 나기 전 리스크를 사전 예방하는 역할로 발전해야 한다”고 밝혔다. 삼성의 경우 2016년 사드 배치로 인한 중국의 보복 위협을 큰 리스크 없이 극복한 것이 대표적 기업외교 사례로 꼽힌다.그가 삼성 반도체 사례를 중심으로 작성한 논문 ‘지정학적 리스크 하 기업외교’를 보면 미국의 대중국 제재로 삼성은 총 300억 달러를 투입한 시안 반도체 공장 운영과 반도체 판매에 리스크를 떠안았다. 미·중 갈등이 격화할수록 삼성은 중국 내 장비 반입이나 생산능력 확장에 제약을 받는 구조다. 또 미국의 화웨이 반도체 판매 금지 제재로 연간 7조원이 넘는 매출 손실을 감내 중이다.신기술 냉전 시대에 돌파구가 보이지 않지만 결국 답은 기술 초격차에 있다는 게 이 전 부사장의 견해다. 그는 “대만 TSMC는 ‘실리콘 방패’와 ‘민주주의 칩’으로 불리며 국가 전략자산으로 지정학 가치를 인정받는다”며 “우리도 한국형 반도체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급변하는 국제 정세는 ‘이동 표적’과 같다. 이 전 부사장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이 처음 등장했을 때 기업도 정부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해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