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Us

CoCoA Group Co., Ltd.

【베이비뉴스 이유주 기자】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지방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조회 12회 작성일 25-04-09 22:45

본문

【베이비뉴스 이유주 기자】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지방의 인구 구조가 변화하는 동시에 젊은 층은 대도시로의 취업, 교육 기회를 찾아 떠나는 경향이 강화되면서 지방의 중소도시와 농촌 지역의 인구 감소가 두드러지고 있다. 인구는 지역의 발전과 생존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다. 세수 감소는 물론이고 돌봄과 자원이 부족해지는 등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기반이 흔들리기 때문이다.이에 각 지역은 청년 인구 감소 및 지역 소멸 위기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인구 유입 정책을 펼치고 있다. ⓒ베이비뉴스 ◇ 담양군, 인구감소 대응에 269억 원 투입먼저 담양군이 인구감소 대응에 269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담양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지난해 기준 35.6%로 2014년 이미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상태다.주요 사업은 ▲지역활력타운 조성(45억4100만 원) ▲담양삼만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170억 원) ▲공공 임대주택(22억 원) ▲스마트팜 인프라 구축(10억 원) ▲창업형 영농시설 지원(12억5000만 원) ▲신규 농업인 기초 영농기술교육(3000만 원) ▲재배실습기회 제공(3억2000만 원) ▲빈집리모델링을 통한 체류 지원(2억5000만 원) 등이다.특히 '담양삼만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은 일자리와 주거를 연계해 근로자들이 안정적으로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창업형 영농시설 지원', '스마트팜 인프라 구축' 등으로 특히 청년층이 농업 분야에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주고 있다.◇ 공주시, 고등학생 전입 시 최대 80만 원 지급공주시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입 홍보 활동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타 지역에 주소를 둔 관내 학생들을 공주시로 전입시키기 위해 새 학기가 시작되는 요즘,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등 학생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 전입 장려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공주시는 타 지역에 주소를 둔 대학생이 공주시로 전입하면 매월 7만원, 고등학생은 최대 80만원을 공주페이로 지급한다. 또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사업, 청년 맞춤형 공유주택 운영 등 다양한 청년 지원 정책도 시행하고 있다.◇ 여수시, 청년·신혼부부 주거 지원 강화여수시는 인구 감소 폭을 줄일 수 있는 '생활 체감형 정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여주시 인구는 지난 1998년 심려 통합 당 [창원=뉴시스] 9일 경남도청 도정회의실에서 박완수 도지사가 2026년도 국비 신규사업 2차 보고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경남도 제공) 2025.04.09. photo@newsis.com [창원=뉴시스]홍정명 기자 = 경남도가 내년도 국비 확보 목표액을 올해보다 4.1% 증액된 10조원으로 정했다.이는 올해 확보액 9조6000억원보다 4000억원이 늘어난 것이다.박완수 도지사는 9일 도청 도정회의실에서 '2026년도 국비 신규사업 발굴 2차 보고회'를 열고, 내년도 국비 확보 계획과 추진 전략을 논의했다.내년도 국비 신청 사업은 신규사업 215건 5093억원, 계속사업 1035건 10조2437억원 등 총 10조7513억원 규모다.보고회에서는 중앙정부 계획에 반영된 경남도 주요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과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한 신규사업 발굴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정부 계획에 반영된 분야별 경남 현안 사업을 보면, ▲우주항공 창업기업 공유공장 구축 5억원 ▲우주산업클러스터 구축 423억원 ▲소형모듈원전(SMR) 제조부품 시험검사 지원센터 5억원 ▲혁신거점 인공지능 데이터 융합과제 지원 15억원 ▲지역특화 제조데이터 활성화 사업 20억원 ▲창원국가산업단지 문화선도산단 조성 68억 원 ▲김해~밀양 고속도로 건설 20억원 ▲진해신항 건설 1단계 4500억원 ▲남부내륙철도 건설 1500억원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 사업 88억원 ▲글로컬대학30 신규 프로젝트 300억원 등이다. [창원=뉴시스]9일 경남도청 도정회의실에서 2026년도 국비 신규사업 2차 보고회가 박완수 도지사 주재로 열리고 있다.(사진=경남도 제공) 2025.04.09. photo@newsis.com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한 신규 발굴 사업은 ▲경남방위산업 이중구조 개선사업 30억원 ▲로봇산업 연계형 로봇비즈니스 친화적 환경 구축사업 10억원 ▲경남형 조선업 동반성장 지원사업 65억원 ▲바이오 메디컬이노베이션센터 구축 20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