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Us

CoCoA Group Co., Ltd.

같이 들을 클래식세자르 프랑크, 생명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조회 4회 작성일 25-05-24 16:28

본문

같이 들을 클래식세자르 프랑크, 생명의 양식 최근 피아니스트 안인모가 방문한 미국 뉴욕의 성 패트릭스 대성당. 정오에 맞춰 뜻밖에 듣게 된 한 오르가니스트의 연주가 9천개의 파이프를 통해 뿜어져 나오며 지난 4월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과 그를 추모하는 이들을 위로하고 있었다. 필자 제공 얼마 전, 15년 만에 미국 뉴욕에 다녀왔어요. 오랜만에 만났음에도 여전히 뉴욕이라는 도시가 보여주는 다채로움을 표현할 길이 없어 말문이 막혔죠. 이번에 가면 꼭 보려고 마음먹은 그림이 있었어요. 뉴욕 현대미술관(MoMA)에 걸려 있는 화가 앤드루 와이어스의 대표작 ‘크리스티나의 세계’예요. 제목이 재밌죠? 가로가 120㎝, 세로가 82㎝이니 꽤 큰 그림이죠.그림 속 실재 인물인 크리스티나 올슨은 퇴행성 근육 장애로 걸을 수가 없어 주저앉은 채로만 이동할 수 있었어요. 화가는 그녀가 인상적으로 걷는 모습에 깊게 영감을 얻어 이 그림을 그렸어요. 그녀가 언덕 위 높은 집을 향해 기듯이 올라가는 행위는, 간절히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것이었죠. 그 간절함은 스스로의 힘으로 집에 도착해 느낄 보람과 환희를 위한 전주곡이고요. 화가가 그린 건, 스스로 자신을 시험하는 그녀의 의지와 결국 해내리라는 확신, 즉 그녀의 정신적인 영역이에요. 그림 속 넓은 언덕 위에 펼쳐진 끝없는 억새들이 극도로 섬세하게 표현돼 있어요. 그녀의 의지 못지않게 화가의 의지도 대단하죠?그런데 삶이란 게 그렇더라고요. 제가 꼭 보고 싶었던 ‘크리스티나의 세계’는 눈을 씻고 봐도 찾을 수 없었어요. 알고 보니 그 그림은 수선 작업 중이었어요. 간절히 원했던 그녀, 크리스티나를 볼 수 없다니…. 처음에는 뉴욕에 가게 된 김에 볼 마음이었지만, 막상 그림을 못 보게 되니 이제야 ‘진짜 간절함’이 피어나더라고요. 미국 작가 앤드루 와이어스(1917~2009)의 1948년 작 ‘크리스티나의 세계’. 뉴욕 현대미술관 소장 맨해튼 시내 록펠러 센터 앞에서 횡단보도를 건너는데 마침 보이는 성 패트릭스 성당에서 정시를 알리는 종소리가 들렸어요. 밤베르크심포니 부악장 설민경 [빈체로 제공] [헤럴드경제=고승희 기자] 인구 7만 명의 독일 남부 작은 도시. 이곳에서 세계적 오케스트라가 나왔다. 2차 세계대전 후 체코에서 이주한 음악가들이 중심이 돼 창단한 밤베르크 심포니다. 1946년 창단, 79년의 세월 동안 체코의 숨결과 독일의 음악성을 정체성으로 삼는다.심포니 부악장 설민경은 “이 작은 도시에 이렇게 훌륭한 오케스트라가 있다는 것에 자부심을 느낀다”고 최근 헤럴드경제와 서면 인터뷰에서 말했다. 밤베르크 심포니는 독일 오케스트라 중에서도 많은 정기회원을 보유하고 있는 악단으로 알려져 있다.밤베르크 심포니가 한국을 찾는 것은 2년 만이다. 지난 2023년 악단을 이끄는 다섯 번째 상임지휘자 야쿠프 흐루샤와 함께 한국을 찾아 체코 음악의 정수를 들려줬다. 이번 내한 공연(31일 성남아트센터, 6월 1일 예술의전당)에선 바이올리니스트 김봄소리가 협연자로 함께 한다.설민경은 “한국인 연주자와 함께 무대에 설 때면 더 설레고, 큰 자부심과 뜨거운 감정을 느끼게 된다”고 했다. 공연에서 연주할 브루흐 바이올린 협주곡은 밤베르크 심포니가 음반 녹음을 했던 작품이다. 설민경은 “서로를 잘 알고 있는 만큼 더욱 깊이 있고 완성도 높은 연주를 기대해도 좋다”고 말했다.이 곡과 함께 베토벤 교향곡 7번도 함께 들려준다. 그는 “이 곡은 베토벤이 체코 테플리체와 보헤미아 지역에 머물며 작곡한 작품”이라며 “오케스트라의 뿌리가 체코인 만큼 우리가 가진 매력적인 보헤미안 사운드로 해석하는 베토벤을 들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밤베르크 심포니의 ‘따뜻하고 부드러우면서도 활기찬 소리’, 이 안에 숨은 슬라브 감성이 한국인의 음악 취향에도 안성맞춤이다. 그는 “투어가 많아 동료들과 함께하는 시간이 많다 보니 가족처럼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오케스트라의 색깔과 연관돼 있다”고 귀띔했다.악단을 이끄는 차세대 지휘 거장 야쿠프 흐루샤에 관해 그는 “(그의) 지휘는 견고하면서도 정갈하다”며 “언제나 단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