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Us

CoCoA Group Co., Lt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조회 14회 작성일 25-06-06 17:31

본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악수하고 있다. [AFP]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5일(현지시간) 통화하고 양국간 무역협상을 재개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미중 간 갈등은 일단 봉합 수순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이날 중국 관영 언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은 이날 1시간 30분가량 진행한 통화에서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방금 시 주석과 최근에 체결하고 합의한 무역 협정의 세부 사항을 논의하는 매우 좋은 통화를 마쳤다”고 밝혔다. 중국 신화통신도 “시 주석이 5일 저녁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 통화했다”고 보도했다.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교착된 양국 협상과 관련 “양국 협상팀이 곧 만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미국측 대표단을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이끌 것이라고 소개했다.신화통신은 “두 정상은 양국 (협상)팀이 계속해서 제네바 합의를 잘 이행하고, 조속히 새로운 회담을 여는 데 동의했다”고 설명했다.미국과 중국은 지난 달 10∼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고위급 회담을 갖고 90일간 무역 협상을 위해 서로에게 부과하던 100% 넘는 관세를 대폭(115% 포인트) 낮추는 ‘관세 전쟁 휴전’에 합의했다.하지만, 이후 양국 협상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 미국은 중국이 비관세 조치 해제를 약속하고도 핵심 광물 및 희토류 수출 제한을 해제하지 않는다며 합의를 전반적으로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했고, 중국은 이를 부인하면서 오히려 미국이 반도체 등 일부 품목 수출통제 및 중국인 미국 유학생 비자 취소 등 차별 조처를 하고 있다며 반박했다.이에 양국 정상은 이날 통화에서 갈등을 해소하는 데 주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후 미국 측의 불만이던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과 관련 “희토류 제품의 복잡성에 대한 어떠한 질문도 더 이상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아울러 신화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은 중국 유학생이 미국에 와 공부하는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다고 전했다.미중 정상이 공식 충남 태안군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작업 도중 숨진 한전 KPS 하청업체 소속 비정규직 노동자 김충현(50) 씨의 작업 현장에 3일 국화꽃이 놓여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고용노동부가 2일 하청업체 근로자 사망사고를 낸 한전KPS에 “근로자 사망을 목격한 다른 하청업체 직원들도 작업을 멈춰야 한다”고 권고했다. 사망 사고와 무관한 업체에서 일하더라도 같은 일터에서 사고로 동료를 잃은 충격을 사측이 도의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고용부는 5일 한전KPS의 하청업체 근로자 김충현씨의 사망사고와 관련해 “사고 목격자들이 속한 다른 업체에 대해 심리회복 기간 중 작업을 재개하지 않도록 권고했다”고 밝혔다. 고용부에 따르면 한전KPS는 충남 태안군에 있는 태안화력발전소에서 두 하청업체의 원청이다. 김씨가 사망한 A 하청업체의 작업은 고용부 조치에 따라 사고 즉시 중지됐다. 하지만 한전KPS는 B 하청업체의 작업을 사고 이틀 만인 4일 재개하겠다고 결정했다. B 하청업체는 사고 장소와 떨어졌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두 업체 직원들은 휴게실을 같이 쓰는 등 동선이 겹친다. B 하청업체 직원들도 김씨의 사망사고를 목격했다는 전언이다. 고용부 관계자는 “법적으로는 B 하청업체의 작업을 중지할 근거가 없다”면서도 “하지만 같은 일터 동료의 사망을 목격한 직원들의 충격을 사측이 고려했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전KPS는 고용부 권고를 받아들여 B 하청업체 작업도 중지했다. 고용부는 김씨의 사망사고 수사와 현장의 사고 재발방지안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태안발전소는 조만간 특별감독에 준하는 감독을 받게 된다. 특별감독은 산재사망자가 2명 이상일 경우 이뤄진다. 하지만 고용부는 이번 사고의 심각성을 고려해 특별감독에 준하는 감독을 고려했다. 감독 결과에 따라 한전KPS는 안전보건진단명령을 받을 수 있다. 안전보건진단명령도 사망산재 사업장 중 사고 재발 위험이 높은 곳에 한해 이뤄지는 특별 조치다. 양종곤 고용노동전문기자 ggm11@sedaily.com